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DID 뜻,DID 코인 종류 백신여권 관련주 정리

반응형

정부는 작년 2020년 7월 14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른바 ‘디지털 뉴딜’입니다.

디지털 뉴딜은 그린 뉴딜과 함께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뉴딜(New Deal)이란?


1929년 대공황때 미국 정부가 대규모 공공사업으로 일자리를 창출해 경제 대공황을 극복한 것을 말하는데요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세에 대한 충격으로 경제위기와 사회구조 변화가 동시에 발생되었는데 이러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경제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는 방안 한국판 뉴딜이라고 부릅니다

정부가 확정·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따르면 2025년까지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 세 개를 축으로 분야별 투자 및 일자리 창출이 이뤄진다고 합니다 디지털 뉴딜 일환으로 진행되는 기술 중 하나가 바로 DID 관련 기술인데요

DID 란?

(Decentralized Identity)

분산 신원확인


DID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신원을 증명하는 시스템입니다

기존 신원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개인의 신원증명 정보는 개인에게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여러 서비스에서

본인의 자율적인 의지에 따라 개인정보 활용범위를 통제하고 직접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신원이 분산 관리되는 만큼 개인정보 노출 위험 역시 줄어듭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DID 개념 설명


지갑에서 주민등록증을 꺼내듯 필요한 상황에만 블록체인 지갑에서

분산 식별자(DID)를 제출해 신원을 증명할 수 있다

기존 방식과 비교하면 신원 확인 과정에서

개개인이 자기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행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분산 아이디(ID) 또는 탈중앙화 신원 확인이라고 한다.

DID 기술 백신 여권?

2021년 NFT 후발주자로 핫했던 DID 메타



4/1 중대본회의에서 정세균 국무총리가


백신여권(DID,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공식발표를 한적 있습니다


지난 4월 1일 정세균 국무총리는 코로나 백신 접종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백신여권을 도입하기로 했고, 그 기반은 블록체인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래서 백신여권 코인이 화두에 오르며 DID 코인 메타가 생기며

아이콘루프의 아이콘(ICX)코인플러그의 메타디움(META)

메디블록,람다,피르마체인 등 엄청난 상승세를 보여주었습니다

DID 분산 신원확인 관련 코인 종류는?

1.메타디움


메타디움은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탈중앙화된 신원인증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현재의 중앙화된 신원인증 체계에서는 개인정보의 소유권이 온전히 개인에게 있다고 보기 힘듭니다. 메타디움은 메타 ID(Meta ID)를 통해 사용자가 개인정보의 생성, 관리, 제공, 삭제 등에 있어 모든 권한을 가지게 하여 개인정보의 자기 소유권을 보장하고자 합니다.

2.아이콘


2017년에 시작된 아이콘은 다양한 블록체인 커뮤니티를 연결하는 글로벌 '인터체인' 프로젝트로서, ICX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아이콘은 초연결사회(Hyperconnect the World)의 비전 아래, 고성능 블록체인 엔진 '루프체인'과 국내외 기업들과의 협약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 및 서비스 기획, 다양한 디앱(DApp) 프로젝트 발굴과 엑셀러레이팅을 지원합니다. 프라이빗 체인은 물론 퍼블릭 체인까지 사업을 확장하는 등 블록체인 기술이 실생활에 적용되는 환경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3.시빅

블록체인을 적용한 생체인식 신원 확인 플랫폼을 목표로 개발중인 디지털 코인입니다. 시빅은 블록체인을 적용한 모바일 기기 앱(API)를 통해 사용자 신원정보를 암호화하고 그것을 생체인식으로 인식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4.메디블록


메디블록(MediBloc)은 여러 기관에 흩어져있는 의료정보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포함한 여러 기기를 통해 생산되는 모든 의료정보를 안전하게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정보 오픈 플랫폼입니다. 이를 통해 의료 소비자는 본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완전한 소유 및 관리권한을 행사할 수 있고, 의료 공급자는 의료 소비자의 동의 하에 의료정보를 기록하거나 연구 등의 목적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5.피르마체인


피르마체인은 블록체인의 탈중앙화 특성을 이용해 위변조 문제를 해결, 비용절감 및 전자계약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블록체인 기반 전자계약, 데이터 저장소 플랫폼입니다. 피르마체인의 전자 계약은 블록체인을 통해 협상과 거래 이력 등 모든 정보를 위변조 없이 투명하게 기록, 블록체인을 통해 인증된 라이센서와 라이센시가 직접 만날 필요 없이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계약 체결이 가능합니다. 또한, 피르마체인의 데이터 저장소에는 사용자와 채굴자 간의 파일 저장 계약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채굴자에게 저장할 파일을 전송, 파일 전송이 완료되면 채굴자는 파일을 암호화한 후, 파일의 복제 및 암호화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는 파일 저장 증명을 블록체인에 전파합니다

6.휴먼스케이프


Humanscape는 충분히 많은 수의 환자들로부터 정교하게 시스템화된 정보가 아직 정복되지 않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PGHD (환자로부터 추출된 건강 데이터)는 전체 건강 데이터 양의 약 60 %를 차지합니다. 그러나, PGHD를 수집하고 구성할 수 있는 견고한 플랫폼이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파편화 된 형태로만 존재합니다. Humanscape는 이와 같이 파편화된 데이터를 하나의 소스로 통합하여 모든 인류를 질병으로부터 자유롭게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제약회사 및 연구기관의 치료제 개발, 임상시험에 사용되며,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자신의 데이터가 원하지 않는 곳에 사용되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7.람다


람다는 블록체인을 이용해서 빠르고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탈중앙화 데이터 스토리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람다 체인과 람다 데이터베이스를 분리하여 DApp에 무한히 확장 가능한 데이터 스토리지를 제공하고 크로스 체인 데이터 관리, 개인 정보 보호, 멀티 체인 데이터 협조 스토리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람다 토큰은 네트워크 관리자, 채굴자,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참여 인센티브로 제공되어 건강한 탈중앙화 데이터 스토리지 생태계를 조성합니다.

8.바이오패스포트

바이오패스포트는 블록체인 기반 보안기술과 데이터 관리 기법을 접목한 비대면 건강관리 서비스로 자신의 건강상태와
전염병 관련 정보 등을 기록해 여행 중 공항, 호텔 등에 개인 의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개인 건강관리 및
의료 여권앱입니다



백신여권 관련주

케어랩스,아이크래프트,다날, KG이니시스

SGA솔루션즈,라온시큐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