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칼럼

어쩔티비 뜻 저쩔티비 유래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얼마전 SNL코리아 시즌2에

출현한 배우 신혜선과 SNL 크루의 대사로

유명해진 어쩔티비, 저쩔티비 뜻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쩔티비 저쩔티비 뜻은?

 

어쩔티비는 "어쩌라고, 가서

티비나봐"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참고로, 저쩔티비는

"저쩌라고, 가서 티비나봐"라는 뜻입니다.

 

 

어쩔티비 저쩔티비

주로, 대중교통이나 카페, 또는

길거리에서 요즘 초등학생이나

10대들이 많이 쓰는 말이며

배우 신혜선이 SNL코리아에 출연한

영상이 큰 인기를 끌면서

20대들도 많이 쓰는 말이 되었습니다

 

 

 

 

MZ세대 신조어 더 알아보기!

 

◾ 반모/반박

이제 그래도 꽤 많은 분들이 '반모' 정도는 알고 계시는 것 같아요. '반모'는 반말 모드의 줄임말입니다. "저랑 반모 하실래요?"라는 말은 '앞으로 너랑 반말로 얘기해도 되겠니' 정도의 뜻인 겁니다. 인터넷에서 익명으로 대화를 하게 될 때, '반모'를 서로 허용함으로써 친밀감을 높이고 가까워졌다는 느낌을 주고받는다고 보시면 돼요. 반모를 허용했다면, 반대 상황도 있지 않을까요? '반박'이 그런 뜻입니다. '어떤 의견에 반박하다' 할 때 그 반박이 아니고요, '반말 모드 박탈'의 줄임말이에요. 더 이상 반말 모드를 하지 않겠다는 의미입니다.

◾ 어쩔티비

어쩌라고~ 티비나 봐! 라는 말의 준말이라고 해요. 결론적으로는 '어쩔 건데~ 어쩌라고~!'의 뜻이라고 보면 돼요. 약 올리는 공격 법으로 자주 쓰인다고 하는데요. '어쩔티비~ 저쩔티비~' 이렇게 쓰기도 하고, 공격 지수를 높이고 싶을 땐 '어쩔+전자제품' 식으로 많이 쓴다고 하네요. '어쩔티비~ 어쩔냉장고~' 이런 식으로요.

◾ 킹받네

'킹받네', '킹리적 갓심' 다들 들어 보셨나요? '킹'이라는 말을 단어의 앞자리에 대체하여 접두사처럼 쓰는 것이 유행입니다. 왕국의 가장 높은 위치의 국왕이라는 영단어 '킹'을 활용하여, 어떤 상황의 최정점을 가리킬 때 '킹'이라는 말을 붙이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킹받네'는 매우 열받았음을 나타내는 말인 거죠. '킹리적 갓심'은 그보다 한 발 더 나아가 왕이라는 뜻의 '킹'과 신이라는 뜻의 '갓'을 모두 활용한 단어로, '합리적 의심'에 '킹'과 '갓'을 붙여 구체적인 상황이나 사실에 기반해 매우 의심할 만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매우 인정한다는 뜻의 '킹정'도 자주 쓰이고 있습니다.

◾ 꾸안꾸 / 꾸꾸꾸

꾸안꾸 / 꾸꾸꾸는 같이 살펴볼 수 있는 신조어예요. 꾸안꾸가 '꾸민 듯 안 꾸민 듯'의 뜻이라면, 꾸꾸꾸는 '꾸며도 꾸질 꾸질'의 뜻이라고 합니다. 꾸며도 꾸민 것 같지 않을 때 쓰는 단어라고 해요.

◾ 박박/나나/짜짜

박박, 나나, 짜짜는 모두 줄임말입니다. 각각 대박, 겁나(혹은 비속어 X나), 진짜를 두 번 반복한 말을 줄인 것인데요. 그냥 '대박'이라는 말을 두 번 '대박 대박' 하는 것보다 '박박'이라고 말하는 것이 뜻은 강조하면서 편리하게 2음절로 줄여 말할 수 있어 좋다고 하네요.

◾ 알잘딱깔센

'알아서 잘 딱 깔끔하고 센스 있게'를 줄여서 표현한 말입니다. 이 단어는 꽤 오래전부터 MZ세대의 단어로 주목받아 왔는데요. 최근에는 10대들까지 알고, 종종 사용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고 답변했습니다.

◾ 크크루삥뽕

'크크루삥뽕'은 큰 뜻을 담고 있지는 않고, 웃음소리를 나타내는 의성어라고 보시면 돼요. 웃는 의성어를 'ㅋㅋㅋ'로 줄여 쓰는 것처럼, '크크루삥뽕'도 그런 뜻이라고 하네요. 트위치 방송의 도네이션 시스템에서 처음 생겨난 유행어라고 합니다. 'ㅋㅋㅋ' > 'ㅋㅋㄹ' > 'ㅋㅋ루' > 'ㅋㅋ루삥뽕' 순으로 점차 변화했다고 하네요.

◾ 깔미

깔미는 '깔수록 미운 사람'의 줄임말입니다. 좋은 뉘앙스의 단어는 아니에요. 보통 싫어하는 사람에게 쓰는 말이라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