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을 앞둔 분들이라면 실업급여나
퇴직금을 알아보실 것 같은데요.
실업급여는 실직상태에 있는 동안
경제적인 도움을 주는 만큼
받을 수 있으면 받는게 당연 좋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 실업급여 조건과
실업급여 신청방법에 대해 정리했으니
실업급여에 대해 궁금하셨다면
오늘 글 한 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 조건!
우선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조건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업급여는 기본적으로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라는 조건이 성립되어야합니다.
실업급여를 받기 위한 대표적인
조건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업급여 조건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조건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싶으면
고용센터에 방문하는 것이 좋지만
미리 알고 계시면 좋겠죠!?
실업급여 조건 ①
- 퇴직일 이전 1년 6개월 동안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된 경우
실업급여 조건 ②
- 정리해고나 권고사직, 계약만료, 정년퇴직과 같은
정당한 사정에 의한 이직으로 회사를 그만 둔 경우
실업급여 조건 ③
- 퇴직일 다음날부터 1년 이내에 신청 및 수급할 것
실업급여 조건 ④
- 재취업 의사와 구직능력이 있지만 실업상태에 있는 경우
실업급여 조건 ⑤
- 직장-재택 간 왕복 출퇴근 시간이 3시간 초과인 경우
- 다른 지역으로 발령 후 퇴직을 하게되는 경우 등
실업급여 조건은 고용보험 홈페이지 [고용보험-실업급여]
카테고리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정 헷갈린다면 고용센터에
방문해서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실업급여 신청기간
실업급여 조건, 잘 체크하셨나요?
실업급여 조건에 해당되신다면
지체없이 실업급여 신청을 하셔야 합니다!
실업급여는 원칙적으로 퇴직한 다음날부터
12개월이 경과하면 지급 받을 수 없습니다.
수급기간(퇴직 후 1년)이 경과하면
실업급여가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일을 그만뒀다면 지체없이 신청해서 받으셔야하죠.
참고로 실업급여는 최대 270일까지 지급되며
잔여 급여가 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1년이 경과하면 지급받을 수 없으니 참고하세요!
즉, 실업상태가 되셨다면 하루라도 지체없이
빠르게 실업급여를 신청해서 지급받으셔야합니다!
실업급여 신청방법
실업급여 신청방법 중에서
이직확인서를 받아야하는데요,
이직확인서는 퇴직하는 직장에
요청해 받으면 됩니다.
실업급여 신청은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오프라인으로 실업급여를 신청할 경우에는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신청 하시면 됩니다.
온라인으로 실업급여를 신청할 경우에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실업급여 온라인 신청방법>
① 고용보험 홈페이지 www.work.go.kr 접속
② 수급자격 신청 전 '수급자격 신청교육'을 필수로 이수(온라인 or 방문 가능)
③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수급자격인정 신청
실업급여 신청을 통해서 수급자격이 인정되면
그 뒤로 본격적으로 실업급여 신청을 진행하며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지급절차에 대한 내용은 하단 이미지를 참고해주세요!
제 주변에도 실업급여 조건에 해당되어
실업급여를 받는 지인들이 있는데요,
나이나 고용보험 가입기간 등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금액과 기간이 다르답니다.
'시사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진단키트 정확도 믿을만할까요? (0) | 2022.04.07 |
---|---|
신속항원검사 정확도 얼마나 될까요? (0) | 2022.04.07 |
코로나 증상순서 이렇습니다 (0) | 2022.04.06 |
코로나 자가격리 기간 단축 가능성 (0) | 2022.04.06 |
전세계 코로나 사망자 현황 안내 (0) | 2022.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