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선에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패배했음에도 문재인 대통령의
직무 긍정률이 42%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갤럽은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에게
문 대통령 직무 수행에 대해 조사한 결과,
42%는 긍정 평가했고
52%는 부정 평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긍정률은 같은 기관의 지난 7일 조사 때보다
1%p 하락했고 부정률은 2%p 상승했습니다
7%(어느 쪽도 아님 3%, 모름/응답거절 4%)는
의견을 유보했습니다
직무 수행 긍정 평가 이유로는
‘외교·국제 관계’가 19%로 가장 많이 응답됐으며
뒤이어 ‘코로나19 대처’(15%), ‘안정감·나라가 조용함’(8%),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 ‘복지 확대’(이상 5%)
‘전반적으로 잘한다’(4%)
‘북한 관계’, ‘기본에 충실·원칙대로 함·공정함’
‘경제 정책’(이상 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정 평가 이유로는 역시 ‘부동산 정책’이
23%로 1위로 나타났으며 이외
‘코로나19 대처 미흡’(12%),
‘전반적으로 부족하다’, ‘공정하지 못함
내로남불’(이상 6%),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
’, ‘리더십 부족·무능하다’(이상 5%),
‘국론 분열·갈등’, ‘인사 문제’(이상 4%)
‘독단적·일방적·편파적’, ‘북한 관계’
‘외교 문제’(이상 3%) 등이 지적됐습니다
아울러 부정 평가 이유로
‘정권 이양 비협조’(1%)도 응답돼 눈에 띄었습니다
연령별로 이번 문 대통령의 직무
‘긍-부정률’을 살펴보면 18~29세(20대)
37%-48%, 30대 43%-55%,
40대 56%-42%, 50대 44%-53%,
60대 30%-61%, 70대 이상 37%-52%입니다
갤럽은 “20대 대선에서 야당 후보가 당선됐으나
선거 전후 문 대통령 직무 평가나
주요 정당 지지 구도에는 큰 변화가 없다”며
“최근 4주간 민주당은 39%에서 36%로
점진적으로 하락했고
국민의힘은 34%에서 38% 사이를 오갔다”고 밝혔습니다
2017년 5월 제19대 대선에서 승리한
민주당 지지도는 직전 35%에서 48%로 상승했었습니다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3.1%p(95% 신뢰수준)에
응답률은 11.6%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사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미크론 증상 발현시기 알려드려요! (1) | 2022.03.18 |
---|---|
코로나 생활지원금 신청방법 알려드립니다 (0) | 2022.03.18 |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알려드려요! (1) | 2022.03.18 |
코로나 격리지원금 신청 및 개편사항 (0) | 2022.03.18 |
청와대 이전 이유는? (1) | 2022.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