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칼럼

월드컵 조추첨 결과 확인하세요!

반응형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예선

2019년 6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치뤄지는데요 플레이오프

치르는 팀들 외에는 모든 본선

진출 국가가 가려졌습니다

 

현재  뉴질랜드-코스타리카 중 한 팀
페루-호주-아랍에미리트 중 한 팀이
본선행 티켓을 갖으며

유럽에선 웨일스, 우크라이나
스코틀랜드가 한 장을 놓고 경쟁 중입니다

월드컵 본선은 현지기준 2022년 11월 21일부터

12월 18일까지 치뤄집니다.

이는 월드컵 사상 최초로 북반구 국가의

계절이 겨울에 접어드는 때인 11월에

개최되는 일정이기도 합니다.

날씨는 월드컵에서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하는데요,

카타르의 11월 평균 기온은 29.5이지만 습도가

높지 않아 견디기 힘들 정도의 더운 날씨는 아닙니다.

또한 이 시기는 카타르의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낮 경기가 아닌 이상 더위가 경기의

변수가 되지는 않을 전망입니다.

따라서 카타르 월드컵은 날씨로 인해 특정 대륙이나

국가가 유리하다고 예상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카타르 월드컵에 참가하는 한국 국가대표팀의

감독은 2018년 부임한 파울루 벤투 감독인데요,

한국 국가대표팀이 한 감독 체제로 4년간 이어진

준비 끝에 월드컵 무대에 도전하는 것은

이번이 역사상 처음입니다.

한국 국가대표팀은 벤투 감독 체제에서

74골을 넣는 동안 단 24실점을 헌납하는

좋은 기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카타르 월드컵에는 많은 관전 포인트가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관전 포인트

한 시대를 주름잡았던 스타 플레이어들의

마지막 월드컵이라는 점입니다.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리오넬 메시,

루이스 수아레즈 등 많은 스타 플레이어들의

마지막 FIFA 월드컵이 될 것으로 보이며,

네이마르마저 인터뷰에서 마지막 월드컵이

될 것 같다고 밝힌 바가 있어 이들이

마지막 불꽃을 보여줄지를 관전 포인트로

삼으면 더욱 흥미롭게 시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카타르 월드컵에서
사용될 공인구의 명칭은
 '알 리흘라'입니다

친환경적인 수성 잉크와 수성 접착제로
만들어진 최초의 월드컵 공인구는
이번 겨울 카타르의 골문을 힘차게

가를 예정입니다

아마드 빈 알리 스타디움 : 2020년 12월 18일 완공 및 개장되었으며 수용인원 4만 명의 구장입니다. 알라얀에 위치했고 건설 과정에서 주변 자연환경 훼손 없이 짓는데 중점을 두었다고 합니다. 월드컵이 끝나면 주경기장은 50% 좌석을 없애고 해외축구 개발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며 소경기장은 지역 축구팀이 활용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알 베이트 스타디움 : 아직 개장되지 않았으며 6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구장입니다. 알 코르 시티에 위치했으며 중동의 유목민들이 사용하는 텐트를 형상화 한 디자인입니다. 카타르의 과거와 현재를 디자인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으며 구장에 설치되는 최신 모듈식 좌석은 월드컵이 끝난 뒤 스포츠 인프라가 취약한 개발 도상 국가에 지원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알 자누브 스타디움 : 2019년에 개장되었으며 수용인원 4만 명의 구장입니다. 카타르 수도 도하 남쪽 해안 도시인 알 와크라에 위치했으며 이미 카타르 에미리컵 결승에 활용된 바 있습니다. 경기장 디자인이 매우 독특하고 물 흐르듯 한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이 경기장은 건축가에게 가장 영예로운 상인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최초의 여성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작품이라고 합니다.

알 투마마 스타디움 : 아직 개장되지 않았으며 수용인원 4만 명의 구장입니다. 수도 도하에 위치했으며 아랍 전통 모자 가피야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알 투마마라는 이름은 경기장이 위치한 지역의 토종 나무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개최국 카타르의 건축가 이브라힘 M. 자이다가 설계했습니다. 월드컵 종료 후에는 스포츠 클리닉, 호텔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바뀐다고 합니다.

에듀케이션 시티 스타디움 : 2020년 완공되었으며 수용인원 4만 명의 구장입니다. 알 라이얀에 위치했으며, 카타르의 교육, 과학, 지역 사회 개발을 이끄는 카타르 재단과 여러 대학들이 위치하고 있어 경기장 이름이 에듀케이션 시티로 지어졌고, 녹지 조성, 공연장, 편의시설 등이 함께 위치해 지역을 위해 기부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칼리파 국제 경기장 : 1976년 건설되어 2017년 개보수 되었습니다. 45,416명을 수용할 수 있는 구장이며 수도 도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1994년 미국 월드컵 진출을 위한 최종예선 때 마지막 경기 골 득실에 앞서 일본이 탈락하고 대한민국이 진출한 일명 도하의 기적 경기가 열렸던 경기장입니다. 유서 깊은 경기장으로 아시안 게임, 걸프컵, AFC, 클럽 월드컵 등 다양한 국제 경기가 열린 곳입니다.

 

루사일 스타디움 : 아직 개장되지 않았으며 수용인원 8만 명의 구장입니다. 수도 도하에 위치했으며 중동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그릇을 모티브로 디자인하였고 결승전이 예정되어 있는 곳입니다. 거대한 구장을 중심으로 카타르의 새로운 중심지로 거듭날 것으로 전망되며 경기장 내 인프라와 커뮤니티 시설이 함께 들어서고 월드컵 이후에는 세계적인 스포츠 프로젝트를 위해 기부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라스 아부 아부드 스타디움 : 아직 개장되지 않았으며 수용인원 4만 명의 구장입니다. 수도 도하에 위치했으며 선적 컨테이너, 착탈식 좌석 등 모듈식으로 지어지며 가장 혁신적인 월드컵 경기장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월드컵이 끝난 뒤 경기장은 완전히 해체되어 재활용 예정이라고 하네요.

 

월드컵 조편성

2일 새벽 1시 카타르 도하에 위치한

전시 컨베션센터 열린 2022

국제축구연맹(FIFA) 카타르 월드컵

조 추첨식에서 한국은 H조에

편성돼 포르투갈, 우루과이 가나와 만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