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접접촉자라는 기준은?
밀접접촉자 자가격리 기준 전에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밀접접촉자라는 그 기준을 먼저
확인을 해야 할 텐데요
밀접접촉자란?
1. 코로나19 확진자의 동거인
2. 시설 내 접촉자 (감염 취약시설 3종 구성원인 경우)
*감염 취약시설 3종 : 장기요양기관, 정신건강시설, 장애인시설
*2번의 경우 헷갈리실 수도 있으실 텐데요
모든 곳에서 접촉자가 아닌 감염 취약시설
3종 구성원인 경우에만
해당되는 점 꼭 확인해두셔요
밀접접촉자 자가격리 기준
2월 25일 밀접접촉자
자가격리 기준 이 공지되었습니다.
오는 3월 1일부터 코로나 확진자의 동거인 즉
확진자의 밀접접촉자는 예방접종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수동 감시로 전환되며
수동 감시기간은 10일입니다
현재까지는 밀접접촉자가 있을 경우
동거인은 즉 가족 또한 자가격리 기준에 따라서
7일간 의무적으로 격리를 해야 했지만
3월 1일부터 백신 접종 유. 무와
관계없이 자가격리를
스스로 결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수동 감시자란?
수동 감시자란 말 그대로 본인이
자기 몸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말합니다.
외출 또한 불가능은 아닙니다.
하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요주의이기때문에
다만 공공시설 같은 곳은 자제하셔야 합니다
수동 감시자권고사항!
3일 이내 PCR 1회 및 7일차 신속항원검사 권고
수동감시자 외출 시 KF94마스크를 상시 착용해야합니다
감염위험도 큰 시설 이용과 사적모임만 제한이 됩니다.
그리고 수동감시 기간 중에는
본인 스스로 건강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매일 본인의 발열, 호흡기 증상 등
코로나19 임상증상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오늘은 코로나 자가격리 대상자 기준과
밀접접촉자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스스로 알아서' 격리 여부를 결정하고
수동적으로 격리를 해 더욱 더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 수가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현재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매일 방역수칙을 잘 지키는 것인데요.
꼭 손 자주 씻고, 마스크는
상시 착용하고 다닙시다
'시사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격리자 생활지원금 개편 내용은? (0) | 2022.03.23 |
---|---|
코로나 확진자 격리지원금 지급 시기는? (0) | 2022.03.22 |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종류는? (1) | 2022.03.22 |
코로나 확진자 지원금 신청서류 알아봐요! (0) | 2022.03.21 |
코로나 지원금 확인하세요! (0) | 2022.03.21 |